Reasons why a surgeon's son should lead a child, 외과의사 아들이 집도해야 하는 이유
◇ Reasons why a surgeon's son should lead a child
An old Jewish man was waiting for surgery on the operating table. However, he believes that his son, who is a famous surgeon, should lead the family.
Just before he goes under anesthesia, the old man has something to say to his son.
"Your father, what's going on?"
"Don't worry too much and do your best. There is only one thing to keep in mind. If the surgery doesn't work out or something happens to me, your mother will come and stay with you."
◇ Gray rhino
The concept was first announced by Michel Booker, who was director of the World Policy Institute at the Davos Forum in January 2013, and is likened to a situation where rhinos are so big that they stand out from a distance and can feel movement just by vibrations, but they cannot do anything out of fear.
Rather than making a decision in the face of a crisis, decision makers have suggested various causes, such as insufficient systems, lack of resources, lack of leadership, difficulty in setting priorities and lack of accountability, for reasons that leave the grey rhino unattended.
The best way to find out that a gray rhino is coming is to recognize that it exists now and try to stop it by going through several stages.
If Black Swan (Black Swan) is a risk factor that could not be expecte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ray rhinoceros as a risk factor that is expected but not addressed.
The major disasters we experience are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but many of them are not prepared for them even though there have been a number of dangerous signals.
The "Miracle on Morgan Stanley," a global investment bank, occurred during the Sept. 11 terrorist attacks. Rick Leskola, the security chief, repeated emergency evacuation drills for all employees for eight years, four times a year, despite the company's characteristic of wasting a minute and a second. As a result, he was able to save more than 2,000 lives at the expense of himself.
* If nothing changes, nothing changes. - Tony Robbins.
◇ 외과의사 아들이 집도해야 하는 이유
유대인 노인이 수술대에서 수술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꼭 유명한 외과의사인 아들이 집도해야 한다고 신신당부한다.
마취에 들어가기 직전 노인은 아들에게 할 말이 있단다.
"네 아버지, 무슨 일인데요?"
"너무 걱정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라. 다만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게 있다. 혹 수술이 잘 안 된다거나 나한테 무슨 일이 일어난다면 너희 어머니가 너희들한테 가서 함께 지내게 될 거다."
◇ 회색 코뿔소(grey rhino)
2013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세계정책연구소 소장이던 미셸 부커가 처음 발표한 개념으로, 코뿔소는 몸집이 커 멀리서도 눈에 잘 띄며 진동만으로도 움직임을 느낄 수 있지만 코뿔소가 달려오면 두려움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비유한 말이다.
의사 결정자들이 위기 앞에서 결단을 내리기보다 미적거리며 회색 코뿔소를 방치하는 이유로 미흡한 시스템, 자원 부족, 리더십 부족,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어려움, 책임성 결여 등 다양한 원인을 제시했다.
회색 코뿔소가 돌진해 오는 것을 알았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코뿔소가 현재 존재한다는 것은 인식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 가면서 막아 내도록 노력해야 한다.
블랙스완(검은 백조)이 예상할 수 없었던 위험 요인이라면 회색 코뿔소는 예상하면서도 대처하지 못하는 위험 요인이란 차이가 있다.
우리가 경험하는 대형재난은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도 있지만 상당수가 수차례의 위험신호가 있었음에도 대비하지 않은 결과인 경우가 적지 않다.
9·11테러 당시 글로벌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의 기적’이 발생했다. 보안책임자 릭 레스콜라는 1분 1초가 아깝다고 하는 회사의 특성을 무릅쓰고 매년 4회씩 8년간 전 직원을 대상으로 비상대피 훈련을 반복했다. 그 결과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2000명이 넘는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 아무것도 바꾸지 않으면,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 Tony Robbins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