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사랑, 평균의 함정, Trap of average
◇ Love of wine
A couple was sitting on a sofa drinking wine.
Madam: "I love you."
Husband: "Did you just say it, or did you say wine?"
Ma'am: "It's me. That's what I'm talking about to wine."
◇ Trap of average
In the late 1940s, the U.S. Air Force faced serious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fighter jet accidents have been frequent as the speed of the flight has increased with jet engines. On the worst day, 17 pilots suffered a crash.
He has been investigating several times, but has not found any obvious flaws or lapses in the fuselage itself or in the maneuver. Officials in charge noted the cockpit, which was designed to fit the average body dimensions of male pilots in 1926, more than two decades ago. He questioned whether the pilots had grown in shape in the meantime.
The Air Force immediately calculated the average body dimensions by item for some 4,000 active pilots. Everyone believed that designing a cockpit based on the new average size would reduce accidents. However, Lieutenant Gilbert Daniels, who was in charge of measuring, doubted the hypothesis.
He averaged 10 items (within 30 percent of the variation in the average value) that are highly related to control, including height, chest circumference and arm length, and compared each pilot's figure with the average pilot's figure. The result was unexpected. There was not a single pilot who averaged the entire category. There was no such thing as an average pilot.
He argued that the design method should be tailored to individuals rather than average, and the Air Force accepted it in a surprise move. The cockpit has been ordered to be ‘tailored’. The aircraft manufacturers were reluctant to do so, citing costs and engineering problems, but aviation engineers have come up with solutions.
One of them is the ‘adjustable sheet’ technology that is now the standard for all cars. As personal-tailored designs became practical, pilots' flying skills improved significantly. Since then, the U.S. military has expanded personal-tailored design guidelines to equipment in all sectors.
- Of the end of the mean,
◇ 와인 사랑
한 부부가 소파에 앉아 와인을 마시고 있었다.
부인 : "사랑해."
남편 : "방금 당신이 말한 거야, 아니면 와인이 말한 거야?"
부인 : "나야. 내가 와인한테 하는 말이야."
◇ 평균의 함정
1940년대 말, 미 공군은 심각한 난관에 봉착했다. 제트엔진 장착으로 비행 속도가 높아지면서 전투기 사고가 빈발했기 때문이다. 최악의 날에는 17명의 조종사가 추락사고를 겪었다.
수차례 조사에 나섰지만 기체 자체나 조종술 등에서 뚜렷한 결함이나 과실을 찾지 못했다. 담당자들은 20여 년 전인 1926년 남성 조종사들의 평균 신체 치수에 맞춰 설계된 조종석에 주목했다. 그사이 조종사들의 체격이 커지지 않았을까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공군은 즉시 4000여 명의 현역 조종사를 대상으로 항목별 평균 신체 치수를 산출했다. 다들 새로 산출된 평균 치수를 바탕으로 조종석이 설계되면 사고가 줄 어들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측정 업무를 담당한 길버트 대니얼스 중위는 이런 가설을 의심했다.
그는 키, 가슴둘레, 팔 길이 등 조종과 연관성이 높은 10 개 항목의 평균치 (평균값의 편차 30% 이내)를 낸 뒤 조종사 개개인의 수치를 평균적 조종사’의 수치와 일일이 대조했다.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전 항목에서 평균치에 드는 조종사가 단 한 명도 없었다. ‘평균적 조종사’ 같은 것은 없었다.
그는 설계 방식을 평균치보다 개개인에게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고, 공군은 이를 전격 수용했다. 조종석을 ‘개인 맞춤형’으로 설계하도록 지시했다 . 항공기 제작사들은 비용과 엔지니어링 문제를 들어 난색을 표했으나 항공 엔지니어들은 해결책을 속속 내놨다.
그 중 하나가 ‘조절 가능한 시트로 현재 모든 자동차의 표준으로 자리잡은 기술이다. 개인 맞춤형 설계가 실용화되자 조종사들의 비행술이 크게 향상됐다. 이후 미군은 개인 맞춤형 설계 지침을 모든 부문의 장비로 확대했다.
- 평균의 종말 중에서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