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타회담에서 (유머), During the Yalta talks (Yumor)

◇ During the Yalta talks (Yumor)


At the Yalta meeting, Stalin asked Roosevelt what was the average wage for American workers.

Roosevelt: Probably $300 a month.

Stalin: So how much do you need to live?

Roosevelt: It would cost about $200.

Stalin: So where do you spend it with 100 dollars left?

Roosevelt: That is his responsibility, not mine.

After answering this, Roosevelt asked.

Roosevelt: What is the average wage for Russian workers?

Stalin: It's going to be about 800 rubles a month.

Roosevelt: How much does it cost to live?

Stalin: 1000 rubles.

Roosevelt: Then we need 200 more rubles a month to live. How do you raise the money?

Stalin: That's his job, not mine.


◇ 敏以求之

I'm not a person I've known since I was born,


He's the one who saved it with all his might because he likes the old one.

Confucius is divided into four classes in his pursuit of learning.

He who knows from birth is superior, and he who learns from learning is next, and he who learns from trouble after trouble is next
He who does not learn in spite of difficulties is second to none among the people.


◇ Seneca's famous saying

* Human beings always act as if there is an infinite amount of time, complaining that they are running out of time.

* Wherever people live, there is hope for love.

* Learn how to keep living while you live.

* How to get through is more important than what to do.

* It is not because it is difficult. It's difficult because you don't dare



◇ 얄타회담에서 (유머)


얄타회담에서 스탈린이 루스벨트에게 미국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얼마냐고 물었다.

루스벨트 : 아마 한 달에 300달러쯤 될 겁니다.

스탈린 : 그럼 생활비는 얼마나 필요합니까?

루스벨트 : 대충 200달러쯤 들겠지요.

스탈린 : 그럼 100달러가 남는데 어디 사용합니까?

루스벨트 : 그건 그가 알아서 할 일이지 내가 알 바가 아닙니다.

이렇게 대답하고 나서 루스벨트가 물었다.

루스벨트 : 러시아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은 얼마입니까?

스탈린 : 한 달에 한 800루블이 될 겁니다.

루스벨트 : 그럼 생활비로 나가는 돈은 얼마가 됩니까?

스탈린 : 1000루블입니다.

루스벨트 : 그럼 한 달에 200루블이 더 있어야 살아가 겠군요. 그 돈은 어떻게 마련합니까?

스탈린 : 그건 그가 알아서 할 일이지 내가 알 바가 아닙니다.


◇ 민이구지 (敏以求之)

아비생이지지자
我非生而知之者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니라,

호고 민이구지자야
好古 敏以求之者也
옛것을 좋아해 힘써 그것을 구한 사람이다.

공자는 배움을 추구하는 자세로 사람을 4 부류로 나누고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자는 상등이요, 배워서 아는 자는 그 다음이요, 곤란을 겪은 후 배우는 자는 그 다음 다음이요, 곤란을 겪어도 배우지 않는 자는 백성 중 하등이다.


◇ 세네카 명언

* 인간은 항상 시간이 모자란다고 불평을 하면서 마치 시간이 무한정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

* ​사람이 사는 곳엔 어디나 사랑의 희망이 싹튼다.

* 사는 동안 계속 사는 방법을 배우라.

* 어떤 일을 겪어 내느냐보다 어떻게 겪어 내느냐가 더 중요한 법이다.

* 어렵기 때문에 못하는 것이 아니다. 감히 시도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