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ool in a shower 샤워실의 바보 외

◇ A fool in a shower


The fool went into the shower.

When I turned on the shower head, cold water came out I turned the shower head in surprise so that hot water would come out.


When the hot water came out, the fool turned the tap upside down so that the cold water came out.

Cold water, hot water... The fool repeats his foolish ‘play the top’ endlessly.


Milton Friedman of the United States, a 1976 Nobel laureate in economics, likened the "shower room idiot" to the government’s inappropriate intervention in the market. 

Friedman argued that the ideal economic control policy is to supply currency steadily and reliably as the economy expands.


The fool acts spontaneous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moment, ignoring the jet lag between his shower faucet manipulation and the consequences of the manipulation.


The shower faucet turns hot or cold water in either direction to produce the desired temperature. In other words, turning the tap on the hot water doesn't quickly get hot water.


You have to be able to wait a little while, and sometimes you have to wait an irritatingly long time.


A showerhead is a person who lacks such patience and turns his or her faucet alternately and eventually fails to get the water he or she wants.


It is rare for any policy to have an immediate effect with execution. Sowing small seeds requires waiting for time to germinate.


Some bamboo seeds are said to sprout after five years later. Most fruit trees, including apple trees, also need at least five years to produce the first fruit.


◇ The gan-mi-shape image (者)

It's best to tell them to correct their mistakes before they show up.


◇ Mirror-related maxims


* Bronze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shape, but alcohol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mind. 

- Ice kilos.


The mirror is the best friend. Because I don't laugh when I'm sobbing.

- Charlie Chaplin.


* Mirror does not smile first.


◇ 샤워실의 바보

바보가 샤워실에 들어갔다.
샤워 꼭지를 틀었더니 찬 물이 나왔다. 놀래서 뜨거운 물이 나오도록 샤워 꼭지를 급히 돌렸다.

바보는 뜨거운 물이 나오자 또 깜짝 놀라 찬 물이 나오도록 꼭지를 반대로 틀었다.
찬 물, 뜨거운 물… 바보는 어리석은 ‘꼭지 틀기’를 끝없이 반복한다.

197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밀턴 프리드먼은 ‘샤워실의 바보’를 정부의 부적절한 시장개입에 비유했다. 
프리드먼은 경제 규모 확대에 따라 꾸준하고 안정적으로 통화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경기조절 정책이라고 주장하였다.

바보는 자신의 샤워 꼭지 조작과 그 조작의 결과 사이의 시차를 무시한 채 순간순간의 온도에 따라 즉흥적으로 행동한다.

샤워 물 꼭지는 온수, 냉수 어느 방향으로 돌려도 조금 기다려야만 원하는 온도의 물이 나온다. 즉, 더운물 쪽으로 꼭지를 틀었다고 금방 더운물이 나오지 않는다.

조금은 기다릴 줄 알아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짜증이 날만큼 기다려야 할 경우도 있다.

샤워실의 바보란, 그런 인내심이 부족하여 물 꼭지를 번갈아 돌려대다가 결국 원하는 물을 얻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어떤 정책이든 집행과 더불어 그 효과가 즉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작은 씨앗을 뿌려도 발아가 되기까지는 시간의 기다림이 요구된다.

어떤 대나무 씨앗은 파종해서 5년이 지나서야 싹이 돋는다고 한다. 사과나무를 비롯한 대다수의 과수나무도 제대로 된 열매가 맺기까지는 최초의 열매가 맺고 나서도 최소한 5년 이상이 지나야 된다고 한다.

◇ 간어미형자상야 (諫於未形者上也)
아직 나타나기 전에 잘못을 고치도록 말하는 것이 가장 잘하는 일이다.

◇ 거울관련 명언

* 청동은 모양을 비추는 거울이지만, 술은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다. 
- 아이스 킬로스

* 거울은 최고의 친구이다. 내가 흐느낄 때 비웃지 않기 때문이다.
- 찰리 채플린

*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