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ck Welch and his mother 잭월치와 어머니


◇ Jack Welch and his mother

Jack Welch, former head of GE, stammered as a child. For example, if a restaurant ordered one tuna sandwich, the employee always gave two tuna sandwiches. 

Since Jack Welch groped for "Two Tuna," which means tuna in English, the employee said he understood it as "Two Tuna." 

The mother made her son take her shortcoming as an advantage. My mother said, "When Jack stammers,

"It's because you're so smart. It's because your tongue can't keep up with the head of a smart boy like you," he said. 

That's why Welch didn't feel ashamed of himself stammering and could have confidence.


◇ 四端說

He is not a man without pity; he is not a man without shame; he is not a man without resignation; he is not a man without knowledge of right and wrong.

"The heart that feels bad" is the height of transgression, the heart that knows shame is the height of right, the mind that refuses is the height of propriety, and the mind that knows right and wrong is the height of wisdom.

The side has four levels of mind, each of which forms the origin of Yin’s example of Righteousness.

Pity

Shame on you for being wrong, and hate others for being wrong. 

Discretion: a humble and yielding heart.

Fascination: A mind that knows how to tell right from wrong


◇ 잭 웰치와 어머니

미 GE사 전 대표인 잭 웰치는 어릴 적에 말을 더듬었다. 한 예로 식당에서 참치 샌드위치 한 개를 주문하면 종업원은 항상 참치 샌드위치 두 개를 줬다고 한다. 

영어로 참치를 뜻하는 튜나(tuna)를 잭 웰치는 ‘튜-튜나’라고 더듬어 말했기 때문에, 종업원이 ‘투 튜나(two tuna)'로 알아들다고 한다. 

어머니는 아들이 자신의 단점을 장점으로 여기도록 만들었다. 어머니는 잭이 말을 더듬을 때면

“너는 너무 똑똑하기 때문에 그런 거야. 너처럼 똑똑한 아이의 머리를 너의 혀가 따라 오지 못해서 그런 거야”라고 말해줬다. 

때문에 웰치는 자신이 말을 더듬는 것을 창피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 맹자의 사단설(四端說)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부끄러운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어짐의 극치이고,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은 옳음의 극치이고, 사양하는 마음은 예절의 극치이고,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은 지혜의 극치이다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마음이 4단(四端)이며, 그것은 각각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근원을 이룬다.

측은지심 : 남의 불행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 :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 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 : 겸손하고 양보하는 마음

시비지심 : 옳고 그름을 가릴줄 아는 마음


* 그리운건

   그대일까 

   그때일까?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