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리나의 법칙과 최소율의 법칙, Anna Carrerina's Law and the Law of Minimum Ratio

Anna Carrerina's Law and the Law of Minimum Ratio

“A happy family is all similar and an unhappy family has different reasons for misfortune.”

Tolstoy's novel 'Anna Carrerina' begins with this phrase and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nna Carrerina's Law'.

In a word, the house that goes well is harmonious, generous, and unreliable, but the house that is not well is a law that contains the phenomenon that there are many words and many rides.

If we apply this to safety
"Safe workplaces are all similar, and workplaces where accidents occurred have different reasons for accidents."

Often, we find a reason for success in one element, but in order to succeed in a real thing, we have to avoid a lot of failure causes.

In addition, the "Law of Minimum" was claimed by German biochemist Justus Liebig in 1843, "the law that the production of plants is determined by the smallest amount of inorganic ingredients present."
The production of plants is one of the various factors (distillation, moisture, temperature, light, etc.)
among the various factors (distillation, moisture, temperature, light) required for growth.

The strength of the most vulnerable ring chain in safety is determined by the most vulnerable ring. Success conditions exist in various ways, but if one of them is fatally insufficient, it is difficult to succeed.

"Success is the ability to cross between failure and failure with passion."
Winston Churchill


桑土綢繆

A bird bites the roots of a mulberry tree before a storm hits, blocking the hole in the nest, which is a word that preparates and blocks the disaster () that will come.
- Poetry (Sigyeong)


* We are at risk not because we do not know that it will happen, but because of the belief that it will not happen.
Mark Twain


Chae Geun-dam (Samhaeng City)
Eat lots of vegetables, build up strength, and quit smoking.



◇ 안나 카레리나의 법칙과 최소율의 법칙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리나'는 이 구절로 시작하며 이를 착안해 ‘안나 카레리나의 법칙’이 만들어졌다.

한마디로 잘나가는 집안은 화목하고 넉넉하고 걱정없는 등 모두 비슷하지만 잘 안되는 집구석은 말도 많고 탈도 많아 천차만별이란 현상을 담은 법칙이다.

이를 안전에 적용해 보면
"안전한 사업장은 모두 엇비슷하고, 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은 사고가 난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

흔히 성공의 이유를 한가지 요소에서 찾으려 하지만, 실제 어떤일에서 성공하려면 수 많은 실패 원인을 피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최소율의 법칙'은 독일의 생화학자 유스투스 리비히가 1843년 주장한 것으로 "식물의 생산량은 가장 소량으로 존재하는 무기성분에 따라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식물의 생산량은 그 생육에 필요한 여러 인자 (양분, 수분, 온도, 광선 등) 가운데
공급비율이 가장 낮은 인자에 지배된다.

안전에서도 가장 취약한 고리사슬의 강도는 가장 취약한 고리가 전체 사슬의 강도를 결정된다. 성공조건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그 중에 어느 한 조건이 치명적으로 부족하다면 성공하기 힘들다.

"성공이란 열정을 간직한 채 실패와 실패 사이를 건너가는 능력이다"
- 윈스턴 처칠


◇ 상토주무 (桑土綢繆)
[뽕나무 상, 뿌리 두 또는 흙 토, 얽을 주, 얽을 무]

새는 폭풍우가 닥치기 전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 시경(詩經)


* 우리는 그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 아니라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인해서 위험에 처하게 된다.
- 마크 트웨인


◇ 채근담 (삼행시)
채소 많이 먹고, 근력도 키우고, 담배는 끊자.

Comment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