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jackday in Australia 호주의 앤잭데이


◇ Anjackday in Australia
The acronym for ANZAC is 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

A total of 15,000 people, including 8,700 Australian and 2,700 New Zealand troops, were killed in the battle on April 25, 1915, the day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allied forces were defeated in the Operation Galifoli, Osman-Turk, during World War I.

In Australia, there are marches of veterans across Australia to commemorate the ANZAC legions, and they eat anti-jackbiskirts eaten by the warriors.
The anti-jackbasket is made with oats, flour, sugar, butter, sugar, molasses and baking soda, and it comes from the families of Angak soldiers who are not damaged during the shipping process.

◇ Tuyu, who developed a cure for malaria with dog beetles

Tu Yu-yu, an 85-year-old female medical professor at the Chinese Institute of Traditional Medicine, won the Nobel Prize for Physiology in 2015 for saving countless lives by developing treatments for malaria with dog beetles.

The reason why I started was because Chinese soldiers fought in the Vietnam War in the past, but many soldiers were sick from malaria in the jungles. So, under Mao Tse-dong's orders, the development of malaria drugs began in 1967 as a national project. It was Dr. Tu Yu, then 37, who conducted the mission.

Dog beetles are named because they smell like dog poop when you tear and mix the stems of the grass.
Artemisin in dog beetles is a cure for malaria and has excellent anti-cancer properties.

Unlike the existing method, dog beetles are highly effective if they are heated up in a low 53 degree fire to squeeze the juice out. To develop the cure for malaria, Tu Yu-yu experimented 190 times, and eventually succeeded in the 191st.


◇  有恒爲成功之本
Constant effort is the basis of success.



◇ 호주의 앤잭데이
ANZAC의 약자는 Austrailian And Newzealand Army Corps

1차 세계대전 당시인 1915년 4월 25일 오스만투르크 갈리폴리 상륙작전에서 패배한 호주와 뉴질랜드 연합군을 기리는 날로 이 전투에서 호주군 8,700여명과 뉴질랜드군 2,700여명 등 총 15,000여명이 사망했다.

호주에서는 ANZAC 군단을 추모하기 위해 호주 전국 곳곳에서 참전군인들의 행진이 있고 용사들이 먹었던 앤잭비스킷을 먹는다.

​이 앤잭비스킷은 귀리, 밀가루, 설탕, 버터, 당밀, 베이킹소다 등을 넣어 만드는데 해상 수송 과정에서 잘 상하지 않기 때문에 앤작 소속 군인들의 가족들이 군인들에게 보낸것에서 유래되었다.


◇ 개똥쑥으로 말라리아 치료제를 개발한 투유유

중국전통의학연구소 85세 고령의 여류 의학자 투유유(屠呦呦) 교수, 개똥쑥으로 말라리아의 치료제를 개발하여 수많은 생명을 살린 공로로 201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처음 시작하게된 이유는 과거 중국군이 베트남 전쟁에 종군했으나, 밀림에서 말라리아에 감염되어 병사하는 군인이 많았다. 그래서 모택동의 명령으로 말라리아 치료제의 개발이 국가 프로젝트로 1967년에 시작되었다. 그 지휘를 했던 것이, 당시 37세의 투유유박사였다.

개똥쑥은 이 풀의 줄기를 뜯어서 비벼보면 개똥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개똥쑥에 들어있는 아르테미시닌이라는 성분은 말라리아 치료제이고 뛰어난 항암효과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방법과는 다르게 개똥쑥을 53도의 약한 불에 데워 즙을 짜내면 효과가 뛰어난다. 이 말라리아 치료약을 개발하기 위해 투유유 교수는 무려 190번이나 실험을 했고, 결국 191번째 만에 성공하게 된다.


◇ 유항위성공지본
     有恒爲成功之本
꾸준한 노력은 성공의 근본이 된다.

Comments

Popular Posts